작성자 프로필
mouuaw
디자인 공부
2022.04.28

디자인은 색의 언어로 말한다

색으로 감정과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메시지를 표현하거나 느낌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색의 몇가지 특징을 알아보겠습니다.

밝은 색 / 어두운 색 - 명도

색의 밝고 어두움을 나타내는 정도를 명도라 합니다. 수치상으론 10(밝음) ~ 0(어두움) 으로 표현 가능하며 흰색은 10, 검은색은 0 노란색은 7~10, 빨간색은 4~6, 파란색은 0~3 의 명도를 가집니다.

명도가 높으면 가벼운 느낌이 들고, 낮으면 무거운 느낌을 줍니다.

명도는 가독성에 영향을 줍니다.

선명한 색 / 탁한 색 - 채도

컬러의 또렷함, 선명도 정도를 채도라 부릅니다. 아무 색도 섞이지 않은 원색에 가까운 색은 채도가 높다고 하며 수치상으로 14(먼셀 표색계의 채도 기준)에 해당합니다. 다른색이 섞이게 되면 채도가 떨어지며 수수하고 탁한색이 됩니다.

흰색, 회색, 검은색처럼 색상은 없고 밝고 어두움만 있는 색은 채도가 없어 무채색(0) 입니다.

채도가 다른 두 색을 가까이하면 서로 영향을 줍니다. 채도가 높은 색과 낮은색이 같이 있으면 높은색은 더 높아보이고, 낮은색은 더 낮게 보이는데 이러한 현상을 '채도 대비'라고 합니다.

채도와 명도의 개념을 합한것을 톤(Tone)이라 부르며, 톤 차이를 잘 활용하면 색을 더욱 풍성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색상

색을 볼 때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것은 색상(Hue)으로, 어떤 색을 다른 색과 구별하여 나타낸 고유한 속성, 즉 빨강, 노랑, 초록, 파랑 등을 말합니다.

색상에는 온도감이 있습니다. 빨강, 주황, 노랑처럼 따뜻한 느낌의 색(난색)과 파랑, 남색, 청록처럼 차가운 느낌의 색(한색), 그리고 녹색, 보라처럼 따뜻하거나 차갑지 않은 색(중성색)이 있습니다.

빛의 색 RGB

빛의 3원색은 빨강, 초록, 파랑 입니다. 빛의 색은 더할수록 흰색이 됩니다. 빛의색은 더했을 때 다음과 같은 색이 나옵니다.

빨강 + 초록 = 노랑
빨강 + 파랑 = 진분홍
파랑 + 초록 = 청록
흰색 = 노랑 + 청록 = 노랑 + 진분홍 = 청록 + 진분홍
빨강 + 초록 + 파랑 = 흰색

위의 경우에서 두 가지 색을 합쳤을 때 흰색이 나오는 경우 두 가지 색을 서로 보색 이라고 합니다.

잉크의 색 CMYK

잉크의 3원색은 청록, 진분홍, 노랑입니다. 이 세가지 색은 다른색을 섞어서 만들 수 없기 때문에 절대 색상 이라고 합니다. 이 세가지 색을 섞어서 다양한 색을 만들 수 있고, 모든 색이 섞이면 검은색이 됩니다.

색을 더했을 때 나오는 색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청록 + 진분홍 = 남색
진분홍 + 노랑 = 빨강
청록 + 노랑 = 초록
청록 + 진분홍 + 노랑 = 검은색
검은색 = 남색 + 빨강 = 초록 + 남색 = 빨강 + 초록

이 때 두 가지 색을 더했을 때 검은색이 나오는 색을 보색이라고 합니다.

웹/앱 디자인의 색

모니터와 스마트폰의 종류는 천차만별입니다. 기기들이 색을 표현할 때 상호 전환하며 같은 색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색 관리 라고 합니다. 화면의 색역을 얼마나 표현할 수 있는지를 색 재현율이라고 하며, 색 재현율은 제조업체마다 조금씩 차이가 납니다.

웹 디자이너는 디자인 작업시, 사전에 색 프로파일을 일반 모니터 기준에 맞추어 작업합니다. 가장 인기 있는 색 프로파일은 sRGB, adobe RGB, Prophoto RGB 입니다. 이중 sRGB(Standard RGB)는 디스플레이의 '표준 색역'이라고 부르며, 디지털 장비에서 효과적으로 색을 표현할 수 있도록 제한적으로 색의 범위를 정한 규약 입니다. 웹 디자인에서는 범용으로 사용하는 sRGB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디자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숫자로 표현하는 웹 디자인의 색

HTML에서 색을 표현할 때는 색 이름, RGB, HEX, HSL, RGBA, HSLA 값으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퍼블리싱할 때는 RGB, HEX코드값을 주로 사용합니다.

RGB

RGB는 각 색상의 위치에 0~255의 10진수 색상값을 넣어 표시합니다. RGBA(Red, Green, Blue, Alpha)는 알파값이 적용되어 투명도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HEX(RRGGBB)

HEX코드는 10진수 RGB값을 16진수로 변환하여 #rrggbb로 표현합니다.

잘 어울리는 색 - 배색

색이 가지는 감정과 느낌을 극대화하기 위해 잘 어울리는 두 색 이상의 색을 사용하여 색의 짜임을 만들어 내는 것을 배색이라고 합니다. 색상환을 사용하여 색의 관계를 활용하면 배색 결정에 도움이 되며,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습니다. 배색에는 질서와 균형 감각이 중요합니다. 단색이 갖는 색채의 고유성보다 색의 배합이 얼마나 효과적이냐에 따라 지각되는 색의 느낌이 다르게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색상, 채도, 명도가 비슷하면 부드럽고 섬세한 느낌을 주며, 크게 다른 명도의 차이는 상쾌한 자극을 줍니다.

바탕에 따라
색상대비 색상이 다른 바탕색을 이웃하여 놓았을 때 두 색은 서로의 영향으로 원래보다 색상 차이가 더 크게 납니다.
명도 대비 명도가 다른 색끼리 배색되는 경우 밝은 색은 더 밝게 느껴지고, 어두운 색은 더 어둡게 느껴집니다.
한난 대비 차가운 느낌의 색과 따뜻한 느낌의 색을 함께 놓으면 차가운 색은 더 차갑게, 따뜻한 색은 더 따뜻하게 느껴집니다.
채도 대비 채도가 다른 두 배경 위에서 대비될 때 서로의 영향을 받아 채도가 높은 색은 더욱 높아보이고 채도가 낮은 색은 더욱 낮아보입니다.
보색 대비 보색인 색끼리 이웃하여 놓았을 때 상대방의 색을 강하게 드러내어 본래 색보다 색상이 더 뚜렷해지면서 선명하게 보입니다.

면적에 따라
면적 대비 같은 색이지만 면적에 따라 채도와 명도가 다르게 보입니다. 면적이 크면 명도나 채도가 높아져 실제보다 선명하게 보입니다.

인접에 따라
연변 대비 색의 경계 부분은 대비가 강화됩니다. 같은색이라도 어두운색과의 경계부분에선 색이 더 밝에 보입니다.
디자인 공부
의 다른 카테고리
0
👍0
👏0
🤔
댓글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