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막에 가려진 진실
도린은 탐욕적인 소시오패스 입니다. 소시오패스는 자신의 행동 동기를 다른 곳에서 찾을 수 있지만 도린의 경우는 다른 사람의 소유물에 대한 지나친 욕구가 행동 동기이기 때문에 탐욕적입니다.
만약 어떤 사람이 양심도 없으면서 탐욕까지 가졌다면 어떤 상황이 발생할까요? 게다가 탐욕의 대상이 미모, 지성, 성공, 개성 같은 훔칠 수 없는 것이라면 어떻게 될까요?
탐욕적인 소시오패스들의 즐거움은 소유하는데 있다기 보단 빼앗는 데 있습니다. 그들은 삶이 자신에게 다른사람 만큼 베풀지 않았으니 자신은 기만당했다고 생각하고, 그래서 다른 사람에게서 훔치거나 다른 삶을 망쳐서라도 비슷한 수준으로 만들려고 합니다.
탐욕적인 소시오패스는 다른 사람을 깎아내리는 일이야말로 자신이 강력해지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믿으며 이런 앙갚음을 삶에서 가장 중요한 일이라고 여깁니다.
이들은 은밀한 권력게임이 최우선의 일입니다. 그래서 그들은 게임에서 이기기 위해 사람들을 속이고 위험을 무릅씁니다. 하지만 여기서 우리가 알아야할 것은 우리는 그들의 행동을 알아채기 힘들다는 것입니다. 탐욕적인 소시오패스들은 너무 이상하고 터무니없는 행동을 하는일이 많지만 그런 행동들이 의도적이었다고 생각하기 힘들기 때문입니다.
탐욕적인 소시오패스는 양의 탈을 쓴 늑대 중에서도 가장 악질입니다. 앞의 예시에서 도린은 특히나 정교한 가면을 쓰고 있습니다. 도린은 자신의 가면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는 사람들에겐 매우 친절하게 행동하지만, 자신이 열등감을 느끼는 사람에겐 마치 자신의 것을 빼앗긴것 처럼 앙갚음을 하며 살아갑니다.
소시오패시 vs 범죄성
우리는 전체 인구의 4%는 소시오패스니까 교도소에는 소시오패스가 득실거릴거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양심이 없는 행동을 저질렀다는 이유로 체포되는 일은 굉장히 예외적입니다. 미국 교도소의 수감자들 가운데 소시오패스는 평균적으로 약 20%에 불과합니다.
이 말은 대부분의 소시오패스는 범죄자가 아니라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오히려 그들은 비교적 정상적인 사람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이런 사실은 우리의 사법제도가 소시오패스가 저지르는 범죄를 포착하지 못한다는 이야기도 됩니다. 일반적으로 소시오패스는 끊임없이 속이고 위장하기 때문입니다.
도린의 속임수는 다른 탐욕적인 소시오패스들처럼 결국 종말을 맞게됩니다. 그들의 종말은 보통 눈에 띄지 않게 조용히 다가오며 외부의 누군가에 의해 일어나게 됩니다. 도린의 경우는 자신이 맡은 환자의 남편이 자신의 아내 상태가 갈수록 안좋아지는것을 보고 도린이 진짜 어떤사람인지 조사합니다. 그리곤 그녀가 제대로 된 의사가 아님을 알게되고 도린은 병원에서 쫒겨나게 됩니다.
하지만 여기서도 의문이 생깁니다. 왜 병원은 도린을 곱게 보내주었을까요? 다시 어디선가 불법을 저지를 가능성이 높은데도 말이죠. 그리고 왜 평범한 사람들은 그 사기꾼들을 알아보지 못하는걸까요? 다음 장에선 이 의문에 대한 답을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정리
이번장은 탐욕스러운 소시오패스에 대해 말하고 있습니다.
앞에서 우리는 소시오패스들이 양심이 없는 사람들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런데 이들이 탐욕을 가지면 어떻게 되는지 말하고 있습니다.
탐욕스러운 소시오패스들은 삶이 자신에게 주지않은것들을 억울해하며 다른사람들에게서 훔치려 합니다. 그리고 미모, 지성, 개성 같이 훔칠수 없는것들이라면 그것들을 질투하며 깎아내리려 합니다.
소시오패스들은 이런 앙갚음을 다른사람들이 모르게 실행합니다. 그래서 일반적인 사람들은 그들의 악의적 행동들이 실수였고 의도적이지 않다고 착각하기 쉽습니다. 그래서 탐욕적인 소시오패스들은 쉽게 평범한 일상에 숨어서 살아갑니다.
또한 그들은 자신들의 가면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는 사람들에게는 매우 친절합니다. 그래서 이런 탐욕스러운 소시오패스들은 사회나 집단에서 굉장히 좋은 사람으로 보여지곤 합니다.
개인적으로 요즘엔 탐욕적인 소시오패스들을 구분하는게 더 어려워졌다고 생각합니다. 그들은 SNS나 미디어를 통해 자신들의 가짜 이미지를 만들기 때문에 그 사람들의 진짜 모습을 알기가 더 어렵습니다. 현실에선 다른 사람들이 눈치채지 못하게 악의적인 행동을 하고, 소셜미디어에서는 자신들의 가면을 만들기 위해 좋은 이미지만 보여주니까요. 이번장은 탐욕적인 소시오패스에 대해 매우 잘 표현했다고 생각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