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배포 과정 요약 >
1. 도메인 구매 2. EC2 서버 수동 배포 3. SSL 인증서 발급 후 설정 4. S3 클라이언트 수동 배포 + Cloudfront 설정 (SSL 자동 적용) 5. 서버 자동 배포 설정 6. 클라이언트 자동 배포 설정 --- < 서버 수동 배포 과정 >
1. 인스턴스 생성 * 퍼블릭 IP 자동 활성화 : 비활성화 * 나머지 기본값 2. Route53에서 도메인 구매 * www.trip-teller.com 에 탄력적 IP 주소 연결 3. 암호화 관련 파일 * pem파일 PuTTy로 PPK 생성 * FilZilla에서 생성된 PPK 파일 넣고 env 파일 전송 4. 가상머신에 접속 후 작업 할 내용 1) 인스턴스에 SSH로 접속 2) 우분투에서 node.js 설치 (공식홈페이지에서 22버전 설치함) 3) PM2 설치 (sudo npm i pm2 -g) 4) PM2 에서 nestJS 실행 * dist 폴더 안 main.js파일 * 주의할 점 : 타입스크립트 파일 실행시키면 오류남. --- < 내부 통신 SSL 적용 >
1. ACM을 이용한 인증서 발급 2. 로드밸런서 생성 3. Route 53 등록
< 참고 링크 >
AWS EC2 인스턴스 생성 및 설정 https://rachel0115.tistory.com/entry/AWS-EC2-인스턴스-생성-및-설정 도메인과 서버(EC2) 연결하기 https://dogfoottech.tistory.com/257 도메인 IP 확인하는 4가지 방법 https://extrememanual.net/46472 chmod 400 "TripTeller_BE.pem"대신 윈도우 설정 https://benfatto.tistory.com/54 FTP 파일 전송 프로그램 (filezilla) 서버랑 서버끼리 파일을 전송할 때 사용하는 프로그램 = FTP https://filezilla-project.org/ PPK (PuTTY로 pem을 ppk 변환) https://thekoguryo.github.io/oci/chapter03/5/3/ ---- AWS SSL 인증서 발급 https://gyucheolk.tistory.com/95 React S3 Cloudfront 설정 https://velog.io/@fkszm3/AWS-React-배포하기-S3-CloudFront-설정부터-https-배포까지 리액트 앱 AWS S3, CloudFront 에 배포하기 https://react-etc.vlpt.us/08.deploy-s3.html AWS S3 & CloudFront로 React 배포하기 https://whyeskang.com/412 (수정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