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y_mi
heymi 스터디기록
2024.12.05

허브는 주소 개념이 없는 물리 계층 장비이며, 전달 받은 신호를 다른 모든 포트로 내보내기만 할뿐이다.

스위치

데이터 링크 계층의 네트워크 장비로써 2계층에서 사용한다 하여 L2 스위치라고 부른다.

공통점 ) 스위치 포트에는 여러 호스트를 연결할 수 있다.(허브와 유사한 점) 전달 받은 신호를 수신지 호스트가 연결된 포트로만 내보낸다.

차이점 ) MAC 주소를 학습해 특정 MAC 주소를 가진 호스트에만 프레임을 전달 할수 있고, 전이중 모드의 통신을 지원한다. 따라서 전이중 모드로 CSMA/CD 프로토콜이 필요 없다.

*전이중 모드 : 송수신을 동시에 양방향으로 할수 있는 통신 방식이다.

스위치가 전달 받은 신호를 원하는 포트로만 내보낼 수 있는 것은 스위치가 MAC주소를 학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스위치를 이용하면 논리적으로 LAN을 분리하는 가상의 LAM VLAN을 구성할수 있다.

스위치의 특징

특정 포트와 해당 포트에 연결된 호스트이 MAC 주소와의 관계를 기억한다는 점이다. 그로 인해 원하는 호스트에만 프레임을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MAC 주소 학습이라 부른다.

스위치는 연결된 호스트의 MAC 주소 간의 연관 관계를 메모리에 표 형태로 기억한다. 연관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MAC 주소 테이블 이라고 부른다.

필터링

전달 받은 프레임을 어디로 내보내고 어디로 내보내지 않을지 결정하는 스위치의 기능이다.

포워딩

프레임이 전송될 포트에 실제로 프레임을 내보내는 것을 포워딩이라고 한다. (정해진 MAC 주소 이외에 프레임에 전송을 보내지 않도록 필터링하는 것을 말한다.)

에이징

MAC 주소 테이블에 등록 된 특정 포트에서 일정 시간 동안 프레임을 전송 받지 못했다면 해당 항목을 삭제한다.이를 에이징이라고 한다.

heymi 스터디기록
의 다른 카테고리
0
👍1
👏0
🤔
댓글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