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시지 교환 방식에 따른 네트워크 분류
네트워크로 메시지를 주고받는방식으로는 회선 교환방식과 패킷 교환방식으로 나뉘어지며, 각각의 방식을 사용하여 메시지를 주고받으며 회선 교환 네트워크 / 패킷 교환네트워크 라고 한다.
회선 교환 방식이란?
메시지 전송로인 회선을 설정하고 이를 통해 메시지를 주고 받는 방식이다. '회선을 설정한다.' === '두 호스트가 연결되었다.' , '전송로를 확보하였다.' 따라서 회선 교환 네트워크에서는 호스트들이 메시지를 주고받기 전에 두 호스트를 연결한 후 연결된 경로로 메시지를 주고 받는다.

회선 교환 방식의 장점은 주어진 시간 동안 전송되는 정보의 양이 비교적 일정하다는 것이다. 단점은 메시지를 주고 받지 않으면서 회선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 다른 회선과 연결 할 수 없다는 것이다. 해당 기능을 하는 장비로는 회선 스위치가 있으며, 대표적인 사례로는 전통적인 전화망이다.
패킷 교환 방식이란?
회선 교환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한 방식으로, 메시지를 패킷이라는 작은 단위로 쪼개어 전송하는 방식이다. 여기에서 패킷은 송수신되는 네트워크의 메시지의 단위를 말한다. 현대 인터넷의 네트워크상에 송수신되는 방법으로 패킷 교환 방식을 사용되고 있다.
패킷 교환 네트워크의 장점은 하나의 전송 경로를 점유하지 않아 상대적으로 효율성이 높다. 또한 정해진 경로만 메시지를 송수신 하지 않는다.
패킷 교환 방식 송수신 중 중간 노드를 거칠 는데 이때 중간 노드를 패킷 스위치하고 하며, 패킷 스위치는 패킷이 수신지까지 올바르게 도달할 수 있도록 최적의 경로를 결정하도록 송수신지를 식별하는 기능을 한다.
대표적인 패킷 스위치 네트워크 장비로는 라우터 / 스위치가 있다.

패킷 교환 방식에서 패킷이란?
패킷의 본래 의미는 소포,꾸러미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택배와 비슷한 개념을 가진다. 패킷을 구성하는 것들로는 페이로드 / 헤더 / 트레일러 세가지로 구성된다.
페이로드는 택배 상자에 넣을 상품을 뜻하며, 헤더나 트레일러는 택배 상자에 붙은 송장이다.
즉, 패킷 교환 네트워크에서 주고 받은 메시지의 단위를 패킷이라고 하며, 패킷을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인 페이로드와 부가 정보인 헤더 및 트레일러로 구성된다.

주소와 송수신지 유형에 따른 전송 방식이란?
패킷에서 헤더에 담긴 대표적인 정보로는 주소가 있다. 주소는 송수신자를 특정하는 정보를 의미 하며,송수신지를 특정할 수 있는 주소가 있다면 송수신지 유형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메시지를 보낼 수도 있다.
전송 방식의 종류로는 유니캐스트와 브로드캐스트 방식이 있다.
유니캐스트방식이란?
가장 일반적인 방식이며, 하나의 수신지에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송신지와 수신지가 일대일로 메시지를 주고받는 방식이다.
브로드캐스트방식이란?
자신을 제외한 네트워크상의 모든 호스트에게 전송하는 방식으로 브로드캐스트의 수신지이며 전송되는 범위를 브로드캐스트 도메인 이라고 한다.
멀티캐스트 : 네트워크 내의 동일 그룹에 속한 호스트에게만 전송하는 방식 애니캐스트 : 네트워크 내의 동일 그룹에 속한 호스트 중 가장 가까운 호스트에게 전송하는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