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ymi 스터디기록
IT/개발
생성 : 2024.03.04
스터디 소개
- 전체(33)
- JavaScript(13)
- node.js(5)
- React(3)
- 개인공부(5)
- 혼공 네트워크(7)
heymi 스터디기록 이달의 인기 포스트
- JavaScript7 day - cookie, localstoragecookie란? Cookie는 데이터이면서, 우리가 현재 사용하는 브라우저에 저장되어있는 것이다. 사용자가 브라우저의 쿠키데이터를 비우거나 금지하지 않는다면 계속해서 유지가 된다. cookie의 생성 쿠키는 각각의 속성을 다음과 같은 문자열에 넣어 document 객체의 cookie 속성에 입력함으로써 생성할 수 있다. 쿠키문법 - read document.cookie는 name=value 쌍으로 구성되어있고, 각 쌍은 ;로 구분한다. 이때, 쌍 하나는 하나의 독립된 쿠키를 나타낸다. ;을 기준으로 document.cookie의 값을 분리하면 원하는 쿠키를 찾을 수 있다. 쿠키문법 - write 쿠키 문법 - create 쿠키 문법 - change document.cookie= 는 getter와 setter같이 동작한다고 이해하면 된다. setter를 수행할때 모든 쿠키를 덮어쓰지 않고, 명시된 쿠키인 user의 값만 갱신한다.hey_mi2024.04.1320
- 혼공 네트워크2.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 (day7) 스위치,허브는 주소 개념이 없는 물리 계층 장비이며, 전달 받은 신호를 다른 모든 포트로 내보내기만 할뿐이다. 스위치 데이터 링크 계층의 네트워크 장비로써 2계층에서 사용한다 하여 L2 스위치라고 부른다. 공통점 ) 스위치 포트에는 여러 호스트를 연결할 수 있다.(허브와 유사한 점) 전달 받은 신호를 수신지 호스트가 연결된 포트로만 내보낸다. 차이점 ) MAC 주소를 학습해 특정 MAC 주소를 가진 호스트에만 프레임을 전달 할수 있고, 전이중 모드의 통신을 지원한다. 따라서 전이중 모드로 CSMA/CD 프로토콜이 필요 없다. *전이중 모드 : 송수신을 동시에 양방향으로 할수 있는 통신 방식이다. 스위치가 전달 받은 신호를 원하는 포트로만 내보낼 수 있는 것은 스위치가 MAC주소를 학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스위치를 이용하면 논리적으로 LAN을 분리하는 가상의 LAM VLAN을 구성할수 있다.hey_mi2024.12.0510
- 혼공 네트워크1. 컴퓨터 네트워크 시작 (2Day) 회선 교환 방식, 패킷 교환 방식, 유니캐스트, 브로드캐스트메시지 교환 방식에 따른 네트워크 분류 네트워크로 메시지를 주고받는방식으로는 회선 교환방식과 패킷 교환방식으로 나뉘어지며, 각각의 방식을 사용하여 메시지를 주고받으며 회선 교환 네트워크 / 패킷 교환네트워크 라고 한다. 회선 교환 방식이란? 메시지 전송로인 회선을 설정하고 이를 통해 메시지를 주고 받는 방식이다. '회선을 설정한다.' === '두 호스트가 연결되었다.' , '전송로를 확보하였다.' 따라서 회선 교환 네트워크에서는 호스트들이 메시지를 주고받기 전에 두 호스트를 연결한 후 연결된 경로로 메시지를 주고 받는다. 회선 교환 방식의 장점은 주어진 시간 동안 전송되는 정보의 양이 비교적 일정하다는 것이다. 단점은 메시지를 주고 받지 않으면서 회선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 다른 회선과 연결 할 수 없다는 것이다. 해당 기능을 하는 장비로는 회선 스위치가 있으며, 대표적인 사례로는 전통적인 전화망이다.hey_mi2024.10.1710
- 혼공 네트워크1. 컴퓨터 네트워크 시작(1Day) 컴퓨터 네트워크, 인터넷이란?, 네트워크 형태, 노드, 간선, 네트워크 구조, ISP컴퓨터 네트워크를 알아야 하는 이유 컴퓨터 네트뤄크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노트북,스마트폰으로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받고 있다. 이렇게 연결된 장치 또한 주변 장치와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 받는다. 이러한 여러개의 장치가 서로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신망을 컴퓨터 네트워크라고 한다. 인터넷이란? 여러 네트워크를 연결한 '네트워크의 네트워크'를 인터넷이라고 한다. 개발자가 네트워크를 이해해야 하는 이유 프로프램이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장치와 상호 작용하며 실행되는 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은 그만틈 개발자가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프로그램 즉, 다른 장치와 상호작용하며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경우가 많다는 의미로 네트워크를 제대로 이해 해야 하는 이유이다. 네트워크 거시적으로 살펴보기hey_mi2024.10.1710
heymi 스터디기록 최근 포스트
- 혼공 네트워크2.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 (day7) 스위치,허브는 주소 개념이 없는 물리 계층 장비이며, 전달 받은 신호를 다른 모든 포트로 내보내기만 할뿐이다. 스위치 데이터 링크 계층의 네트워크 장비로써 2계층에서 사용한다 하여 L2 스위치라고 부른다. 공통점 ) 스위치 포트에는 여러 호스트를 연결할 수 있다.(허브와 유사한 점) 전달 받은 신호를 수신지 호스트가 연결된 포트로만 내보낸다. 차이점 ) MAC 주소를 학습해 특정 MAC 주소를 가진 호스트에만 프레임을 전달 할수 있고, 전이중 모드의 통신을 지원한다. 따라서 전이중 모드로 CSMA/CD 프로토콜이 필요 없다. *전이중 모드 : 송수신을 동시에 양방향으로 할수 있는 통신 방식이다. 스위치가 전달 받은 신호를 원하는 포트로만 내보낼 수 있는 것은 스위치가 MAC주소를 학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스위치를 이용하면 논리적으로 LAN을 분리하는 가상의 LAM VLAN을 구성할수 있다.hey_mi2024.12.0510
- 개인공부SCSS & Sass 총정리css의 단점 css는 복잡한 언어는 아니지만 작업이 커지고 코드가 많아질수록 불편함이 생기게 된다. 예를 들어 선택자의 과용과 연산 기능의 한계, 구문의 부재 등 프로젝트가 커지면 코드 중복이 많아지고 복잡해지어 유지보가 어려워지게 된다. 1. 선택자을 만들때 매번 불필요한 선택자를 적어야 한다. 2. function 같은게 없으니, 규모가 큰 프로젝트의 경우 자동화하기 어렵고 모든 것을 수동을 변경해야 한다. 3. 중복되는 코드가 많아 코드 줄수 가 길어져 유지보수에 마이너스적인 요소가 된다. Sass란? 두가지 의미가 담겨있다. (코드를 css로 해석하는 역활을 하는 전처리기 / 문법으로서 의미 ) Sass문법을 기반으로 코드를 작성하면, sass전처리기의 도움을 받아 css파일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것 (이 작업을 컴파일 이라고 한다.)hey_mi2024.12.0500
- 혼공 네트워크2.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 (day6) 주소 개념이 없는 물리 계층, 허브, 허브특징, 리피터, 콜리전 도메인, CSMA통신 매체를 통해 송수신되는 메시지는 다른 호스트에게 전달되는 과정에서 네트워크 장비를 거칠수 있다. 네트워크 장비로 물리계층에는 허브가 있고, 데이터 링크 계층에는 스위치가 있다. 주소 개념이 없는 물리 계층 물리 계층에는 주소 개념이 없다, 물리 계층에서는 단지 호스트와 통신 매체 간의 연결과 통신 매체상의 송수신이 이루어질 뿐 정보에 대한 변경이나 판단을 하지 않는다. 반면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는 주소 개념이 있다. MAC주소가 여기 속한다. 허브란? 물리 계층의 허브는 여러 대의 호스트를 연결 하는 장치이다. 리피터 허브, 이더넷 네트워크의 허브는 이더넷허브 라고 부른다. 허브의 특징 - 전달 받은 신호를 다른 모든 포트로 그대로 다시 내보냅니다. 허브는 물리 계층에 속하는 장비로 물리 계층에서는 주소 개념이 없기에 허브는 수신지를 특정할수 없다. 따라서 신호를 전달 받으면 조작이나 판단을 하니 않고 송신지를 제외한 모든 포트에 그저 내보내기만 한다. 모든 호스트는 허브를 통해 전달 받은 신호를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패킷의 MAC 주소를 확인하고 자신과 관련이 없는 주소는 폐기한다.hey_mi2024.11.2100
- 혼공 네트워크2.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 (day5) 이더넷,이더넷표준,통신매체표기형태,Mbps(메가바이트),Gbps(기가바이트),케이블 종류, 이더넷프레임, 토큰링이더넷이란? 현대 유선 LAN 환경에서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된는 기술이다. 다양한 통신 매체의 규격들과 송수신되는 프레임의 형태, 프레임을 주고 받는 방법 등이 정의된 네트워크 기술이다. 이더넷 표준이란? 이더넷 관련 기술을 IEEE 802.3으로 표준화를 하였으며, 다양한 표준들의 모음을 의미한다. 서로 다른 컴퓨터가 각기 다른 제조사의 네트워크 장비를 사용하더라도 동일한 형식의 프레임을 주고 받고 약속한 듯 통일된 형태로 작동하는 것도 이더넷 표준을 준수하기 때문이다. 이더넷 표준에 따라 지원되는 네트워크 장비, 통신매체의 종류와 전송 속도 등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이다. 통신매체 표기 형태란? 전송 속도 BASE - 추가특성 - 전송 속도 10Mbps(메가바이트) / 100Mbps / 1000Mbps==(1Gbps 기가바이트)/태라바이트hey_mi2024.11.1400